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버스: 1999/등장인물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버스: 1999


[ 펼치기 · 접기 ]

인게임 정보
기타



파일:리버스1999마도학자틀.png
[ 암석 ]
[ 천체 ]

파일:리버스별틀.png
ta-hash-start=w-f67326bcb522ec5d2f8e79feb0d29c57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보이저반신.pngta-hash-start=w-468cbac056133a996283cca7e2976336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릴리아반신.pngta-hash-start=w-bf04433af36b3fa411e8e4d54bb03c0b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레굴루스반신.pngta-hash-start=w-4cc4f6c8449caa44523fd87c6a86e4cd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투스페어리반신.pngta-hash-start=w-a0905fee545c5c3904259e37625e6bb1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베이비블루반신.pngta-hash-start=w-b4aa16d8d291bc9eef7d9eccc6567683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마틸다반신.pngta-hash-start=w-68fed5f437feea792d5db661abc7ac85
[[파일:리버스배경.png
[[파일:찰리반신.pngta-hash-start=w-e1e1db28712431600d2df4d63c872701

[ 나무 ]
[ 야수 ]

1. 개요
2. 분류
2.2. 플레이어블 캐릭터
2.2.1. 마도학자
2.2.2. 마도학자 혼혈종
2.2.3. 마도학자 감염종
2.2.4. 초자연자
2.2.5. 의식 각성자
2.3. 비 플레이어블 캐릭터


1. 개요[편집]


모바일 게임 리버스: 1999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에 관한 내용을 담은 문서.


2. 분류[편집]



2.1. 타임키퍼 버틴[편집]


본작의 플레이어이자 주인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버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플레이어블 캐릭터[편집]



2.2.1. 마도학자[편집]


마도학자 // Arcanist

타고난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는 이유로, 사회로부터 배척당하고 추방된 존재.

마도학자가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이 종족은 일찍이 큰 번영을 이루었지만, 지금은 이미 몰락한 집단입니다.

공식 설명문

작중 외모는 인간과 비슷하지만 마법, 마도술이라는 능력을 다룰 수 있는 종족을 마도학자라고 하며, 거의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은 이 종족에 속한다. 인간과 별개의 종족이며, 때문에 인간의 외형을 가진 것과 가지지 않은 것들도 모두 함께 통틀어 마도학자이다. APPLe나 A 나이트 같은 비인간형 마도학자가 그 예시.

인간 사회 곳곳에 섞여있지만 차별이 심해 대우가 좋지 않고 심하면 학살사건이 일어나기도 한다. 마치 마녀사냥을 연상시키는 부분. 그래도 현대로 갈수록 현실의 소수자처럼 대우가 개선된 듯 하지만, 문제는 스토리의 시대 배경은 계속 과거로 돌아가기 때문에 대우도 점점 나빠진다는 것이다.

인게임의 자료에 따르면 분류가 다양하다. 마도학자 감염종, 초자연자, 의식각성자, 마도학자 혼혈종 등.

대부분은 순혈이지만 인간 혼혈 마도학자도 존재한다.[1] 혼혈 마도학자는 순혈에 비해 마도술이 약하다고 언급되며 인간을 극도로 혐오하는 순혈 마도학자 집단인 '재건의 손'은 혼혈 역시 배척하는 모습을 보인다. 인간형이고 혼혈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생물학적으로는 아종으로 추정되나 자세한 것은 불명. 보통 외형이 비슷하고 교배가 가능한 두 종을 같은 종[2][3]으로 여기지만 자세한 것은 불명이다.



2.2.2. 마도학자 혼혈종[편집]




2.2.3. 마도학자 감염종[편집]




2.2.4. 초자연자[편집]




2.2.5. 의식 각성자[편집]




2.3. 비 플레이어블 캐릭터[편집]



2.3.1. 성 파블로프 재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성 파블로프 재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2. 재건의 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재건의 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3. 집사 카슨[편집]


성우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석승훈 / 파일:영국 국기.svg 케번 브라이팅(Kevan Brighting)[4](추정) / 파일:일본 국기.svg ??.

소더비 가의 장원집사로 작중에서 언급만 되고 등장하지는 않는 소더비의 부모를 대신해 소더비를 충실하게 보필하는 보호자로서 활약한다. 그러나 그는 일반인이었기에 폭풍우 증후군의 영향을 받아 금고에 있는 재물을 가지고 요리를 만들게 되었고 이 광경을 본 소네트 일행이 1929년도의 폭풍우 증후군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는 계기가 된다.

이후 소더비의 환각제 실험에 자원하는 등 일반인으로써 버틴 일행 측의 조력자로서 행동했지만, 2챕터의 마지막에서 자신의 끝을 예감하고는 마지막 만찬을 즐기면서 소더비와의 추억을 회상한 후[5] 소더비에게 자신이 집사 일을 하면서 모든 정보를 기록해놓은 장부를 건네며 훌륭한 아가씨로 자랄 것이라며 다독인다.[6] 그 후 소더비가 폭풍우를 보면서 놀란 순간 사용인들과 함께 옷만 남기고 사라졌으며, 소더비는 카슨을 찾다가 결국 그의 옷을 잡고 울고 만다.

참호같은 발언을 하는 것으로 보아 1차 세계 대전 참전자인 듯하다. 아마 대영제국에서 군 입대한 것으로 보인다.


2.3.4. ???[편집]


성우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신 / 파일:영국 국기.svg ?? / 파일:일본 국기.svg ??.

오솔길에서 소라고동 말풍선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의문의 목소리. 캐릭터들의 설정이나 스토리의 뒷이야기, 떡밥을 던지며 현학적이고 은유적이며 때로는 조롱투의 말투를 구사한다. 일단 주인공(버틴)에게 호의적이며[7] 그녀 특유의 유머센스를 좋아한다고 하지만, 워낙 비꼬기를 많이 해서 진심인지는 알기 어렵다.

난해하고 철학적인 말투 때문에 디스코 엘리시움이 연상된다는 평가도 있다.[8] 또한 호불호가 갈리긴 하나 메인 스토리는 직관적으로 진행되고, 들어도 그만 안 들어도 그만인 말풍선 아이콘의 서브 스토리에서 나오기 때문에 알아듣기 어렵다는 유저들도 그렇게 큰 불만은 없는 편.


2.3.5. 토미[편집]


성우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파일:영국 국기.svg ?? / 파일:일본 국기.svg ??.

런던의 신문팔이 소년, 빈민 출신이어서 그런지 정제되지 않은 영어 억양을 쓴다. 프롤로그와 프롤로그 이전 시점을 다룬 쥘 리메 컵 스토리에서 등장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7:21:11에 나무위키 리버스: 1999/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버틴도 혼혈이라고 언급된다.[2] 아종 또는 변종.[3] 교배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그 잡종끼리 교배가 가능해야 한다.[4] 스탠리 패러블에서 나레이션을 맡은 성우이다.[5] 마지막 만찬은 소더비가 직접 만든 음식이 대접되었는데 굳이 태워먹은 음식을 먹으며 소더비가 어렸을 때 친 사고들을 회상하는 모습을 보인다.[6] 장부의 앞부분은 소더비 부모님의 일과가 적혀있지만 그 외 장부의 대부분은 소더비가 좋아하는 것들을 빠짐없이 기록한 내용이 담겨있었다. 호기심이 강한 소더비는 좋아하는 것이 수시로 바뀌었기에 그 때마다 꼬박꼬박 기록해왔던 것. 카슨이 얼마나 소더비를 아끼고 헌신적으로 보필해왔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7] 난해해서 알기 어려우나 대화문상으로는 의문의 목소리와 버틴이 이야기하는 것이 맞다. 간접적으로 상대방을 버틴으로 칭한다.[8] 주된 대화 패턴은 ???가 알 수 없는 헛소리를 늘어놓으면 버틴이 다른 질문으로 반문하는 것인데, 이 패턴이 디스코 엘리시움에서 주인공 해리가 내면의 목소리들과 대화하는 패턴과 매우 유사하다.